촉지적 표면으로서의 회화 평면 (금천예술공장 비평워크숍 2019)

글. 이은주 (독립기획자/ 미술사)

한 여름날의 기후에 대한 느낌을 시각화한 2015년의 ‘날씨 회화’연작을 위해, 신현정은 에어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마치 대기의 입자들이 캔버스 표면에 흡착된 듯한 이미지를 구현했다. 제목에서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른 환경의 변화를 암시하는 <날씨 회화-오늘의 신간>이나 <날씨 회화-주간예보>와 같은 작품에서, 그는 캔버스들을 벽에 거는 대신 일간지 가판대를 연상시키는 앵글 구조물 위에 마치 태양을 향하는 듯 비스듬히 세웠다. (2013-)에서는 작업실 바닥에 깔린 캔버스 천이 습기에 의해 변색된 상태를 그대로 수용하기도 했다. 대기 안의 열기나 습도가 전사된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작품들에서, 캔버스는 실제 환경에서 분리된 자기충족적인 평면이 아니라 리트머스 용지처럼 물질의 반응을 담아낸 표면이자 환경적 반응이 수렴되는 장이 된다.

이처럼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수용하는 신현정의 작업 방식은 최근까지 지속되어왔다. (2016) 연작에서는 캔버스 천위에 여러 가지 오브제들을 올려놓고 야외 광선에 노출시켜 마치 감광지처럼 그 흔적이 남겨지게 했고, <하드보일드 티>(2018) 연작에서는 면, 아사, 검은 캔버스 등의 천들을 강황, 녹차, 홍차 등으로 염색하듯 물들였다. 이 작업들에서 회화 평면이 되는 천에 대한 물질의 반응은 곧 회화적 이미지가 되었다. 하지만 신현정의 작업은 물질의 작용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그가 몸으로 체감한 공간의 온도나 습기 등의 촉각적 인상을 특정한 물질적 작용으로 치환시키는 것에서 시작된다. 예컨대 작업실 안의 추위는 따뜻함과 연관되는 강황으로, 기록적인 무더위의 열기는 시원함을 환기시키는 파란 이온음료의 선택으로 이어진다. 작가의 언급에 따르면 이러한 작업은 “계절별 옷을 만드는”것과도 비슷하다. 이러한 점에서 신현정의 회화 평면은 외부 환경에 반응하는 물리적 표면이자, 작가 자신의 촉지적 감각과 연동된 일종의 가상적 피부라고 말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날씨 회화’연작에서, 에어 스프레이가 분사된 회화 평면에서 대기의 열기 안에 있는 작가의 호흡을 느끼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신현정이 재료의 작용을 수용하여 만든 이미지를 단지 시각적으로만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마도예술공간에서 전시된 <적응과 회피의 메들리-Colors you can eat and sweat>(2018)에서, 장막처럼 공간을 가로질러 늘어져있는 푸른 천은 관객들의 공감각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이온 음료의 파란색으로 물들여진 얇은 실크 천은 시원한 바다 혹은 한 낮의 빨래, 여름 옷자락을 연상시키는 특정한 환경을 조성한다. 누군가는 그 푸른색에서 파워에이드의 맛을 떠올렸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에서 색채는 코드화된 색환표의 한 단위로 환원시킬 수 없는 공감각적 경험을 수반한다. 실상 이러한 색채 인식 방식은 우리가 일상 속에서 색을 인지하는 실제적 방식과도 유사하다. 나무의 초록색은 반사된 햇빛의 정도, 잎의 윤기, 나무의 모양이나 냄새와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지각된다. 신현정이 햇볕에 천을 바래게 만든 연작에 ‘Color study'라는 부제를 붙인 것에서도 색을 공간적 환경의 일부로 보는 관점이 드러나고 있다. 그가 생각하는 ‘이미지’라는 것은 단지 시각적인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감각들을 동시적으로 작동시키면서 몸 전체로 경험되는 추상적 상태와도 같은 것일까? 신현정의 회화들이 종종 변형 캔버스의 형태로, 틀이 없는 종이로, 혹은 공간을 가르는 천으로 구현된 것도 몸이 위치한 3차원적 환경과 분리될 수 없는 이미지를 추구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신현정은 최근 금천예술공장 주변의 의복 공장에서 가져온 자투리 천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작을 진행하고 있다. 그의 지난 작업들이 촉각적 성질 때문에 피부를 감싸는 천을 연상시켰던 것을 생각할 때, 이러한 변화는 자연스럽게 보인다. 이전 작업과 달라진 것이 있다면, 외부 환경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다양한 재료들의 성질을 조율하여 특정한 인상을 창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다. 회색 체크무늬 양복천은 규칙적인 무늬와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빈틈없는 조직으로 인해 단단함과 차가움을 느끼게 한다. 반면 얇은 실크천은 부드럽게 밀착되는 질감으로 물처럼 유연한 움직임의 인상을 전해준다. 신현정은 이처럼 서로 성질이 다른 두 천을 캔버스 틀 위에 조합하여, 도시와 자연, 고착된 것과 흐르는 것, 남성성과 여성성처럼 대립적 성질들이 어우러진 추상적 풍경과도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최근작인 <석영을 위한 왈츠(Waltz for Quartz>(2019)에서 청색과 회색 양복천은 명확한 구조적 형태가, 염료가 흐르듯이 염색된 실크천은 유동적이고 선적인 결이 되어 서로를 보완하는 조형적 균형이 창조되었다. 신현정은 광물의 일종인 석영에 오랜 시간 열과 압력으로 인해 새겨진 유기적 무늬들을 떠올리며 이 작품의 제목을 붙였다고 한다. <공기와 그리드>(2019)에서, 체크무늬 양복천에 실크사로 새겨진 드로잉 선들은 단단하고 무표정한 표면 위에 춤을 추듯 가볍고 날렵한 리듬을 부여한다. 이 리듬감은 두꺼운 천을 관통하는 바느질의 경쾌한 율동에 대한 관람자의 상상에 의해 더 구체적인 것이 된다. 옷이 될 수 있는 천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이러한 작품에서, 회화적 조형성은 시각적인 것과 촉각적인 것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회화 평면에 개입하는 몸의 감각으로 완성된다. 신현정은 자신의 몸과 연결된 표면이자 관람자의 감각을 초대하는 공간으로서의 회화 평면을 마치 옷을 만드는 재단사처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The Painting Plane as a Haptic Surface ( Geumcheon Art Space Critic Workshop 2019)

Eun joo Lee (Independent Curator/ Art Critic)

In order to visualize the feelings of the midsummer climate in her Weather Paintings series of 2015, Fay Shin used air spray to make it appear as if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attached on the canvas surface. With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changes that come with time already suggested in their titles, works like Weather Painting – New Releases and Weather Painting – Weekly Forecast feature structures reminiscent of newsstands that slightly angle the canvases to face the sun instead of merely hanging them on the wall. In Summer Stage / Winter Cave (2013-), the canvas fabric on the floor retains the discoloration from the studio’s humidity. As these works create the illusion of the ambient heat or humidity being projected onto the canvas, Shin’s canvas serves not as the self-fulfilling surfaces separated from the actual environment, but rather becomes a litmus test sheet that captures the reaction of substances and a venue whereupon the environment’s responses converge.

Shin continued such methods of incorporating the ambient environment in her works until recently. In the Sun Drawing (2016) series, she placed multiple objects on the canvas and exposed them to the outdoor sunlight, leaving traces as if the canvas was a photosensitive paper. In the Hard-boiled Tea (2018) series, Shin dyed textiles including cotton, linen, and black canvas with substances like turmeric, green tea, and black tea. The reaction of the substances that comprise the surface of the painting in these works became the painterly image itself. However, Shin’s works begin not from her interest in the chemical reaction of these substances, but instead from her efforts to transpose her tactile impression of the ambience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to peculiar material reactions. For example, the cold temperature of her studio leads her to choose the turmeric associated with warmth, whereas the record-breaking summer heat leads her to choose the blue energy drink that evokes images of coolness. According to Shin, such work is similar to “creating seasonal clothes.” In that regard, the planes of Shin’s paintings are physical surfaces that respond to external environments as well as a sort of a virtual epidermis linked with Shin’s own haptic senses. This is possibly the reason why one may sense Shin’s own breath imbued in the atmospheric heat within the surface of the air sprayed painting in the aforementioned Weather Paintings series.

Such images, created by the artist embracing the reactions of materials, must not be interpreted only visually. In Colors You Can Eat and Sweat (2018) exhibited at the Amado Art Space, the blue fabric laid across the space like a curtain elicits a synesthetic reaction from the audience. Dyed with the same blue hue of energy drink, the silk fabric sets a specific environment that evokes images of the cool ocean, freshly washed clothes hanging dry in high noon, or the fluttering summer garments. Some may have even thought of the flavor of the Powerade from the blue color. The coloration in such work accompanies the synesthetic experience that cannot be transposed into a single color code unit. This is similar to how we actually perceive color. The green hue of leaves is inseparably associated with the luminosity of the sunlight, the glossiness of the blade, and the shape or scent of the tree. Shin’s appendage of the subtitle Color Study on the Sun Drawing series which features fabric washed out by the sunlight suggests how she perceives color as a part of the spatial environment. To Shin, an “image” is perhaps not merely something visual but also an abstract state of being experienced by the entire body as it simultaneously activates all other senses. The reason Shin’s paintings are often manifested in manipulated forms of the canvas, unframed paper, or fabric that cordons off the space must probably be due to the fact that Shin seeks after images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erein the body resides.

Shin has recently been working on a new series using scrap fabric she collected from a clothing factory near Seoul Art Space Geumcheon. Considering how her previous work evoked images of textile covering the skin due to their tactile traits, Shin’s recent shift in methodology only appears natural. The one thing that may have changed from her previous work is that Shin is now aiming to create a specific impression by coordinating the properties of diverse materials instead of accep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s-is. The grey checkered suit fabric gives off feelings of sturdiness and coldness due to its regular patterns and densely knit texture designed to protect the body from the elements, while the thin silk with its smooth texture and adhering nature evokes a sense of fluid water-like movement. Shin combines fabrics with differing characteristics atop the canvas frame to create abstract landscapes of contrasting traits such as the city versus nature, the fixed versus the flowing, and masculinity versus femininity.

In Shin’s recent work Waltz for Quartz (2019), the blue and grey suit fabric presents a clear structure while the silk with flowing dye coloration provides the linear texture. The different fabrics used therein create a mutually supplementing balance. Shin says that the title of this piece was inspired by the organic patterns engraved on the quartz minerals through eons of heat and pressure. In Air and Grid (2019), the lines of silk yarn drawn across the checkered suit fabric grants dexterous rhythm as if dancing atop the solid, expressionless surface. Such rhythmic feeling becomes even more specific in the viewers’ imagination of the vibrant choreography of the needlework penetrating the thick fabric. In this work fashioned out of fabric that could have been sewn into habiliments, the painterly formative elements retain the visual and the haptic in a shared domain, while the bodily senses intervene with the painting’s surface to complete the work. By inviting the senses of the viewers to partake in the surface connected to her body, Shin is recreating the painting’s surface much like how a tailor crafts fabric into clothes.